<p></p><br /><br />[리포트]<br>지금부터는 긴박하게 돌아가는 한반도 상황 분석해 보겠습니다. 하태원 국제부장 나와있습니다. 키워드 소개해 주시죠.<br> <br>속도전 하면 북한의 천리마, 만리마 운동같은게 생각나실 텐데요. 오늘은 <트럼프식 속도전>을 한번 짚어보겠습니다. 김정은의 덜미를 야무지게 잡아챌 기세입니다. <br><br>[질문1] 회담조율이 속도를 내고 있는데 결국 가장 핵심적인 부분은 비핵화의 방식 아니겠습니까? 트럼프 구상이 베일을 벗은 겁니까? <br><br>고르디우스의 매듭을 끊듯 쾌도난마식으로 해결할 것이라는 예상은 많았는데 구체적 시한이 언급된 것은 처음입니다. <br> <br>워싱턴의 소식통이 전한 내용인데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과 마주 앉으면 6개월에서 1년 내에 북핵완전폐기를 요구할 것이라는 말입니다. 대담한 제안이고 김정은도 당황할 것 같습니다. <br> <br>미국내 기류를 하나 더 설명드리겠습니다. 폼페이오 국무장관 내정자가 청문회에서 발언할 내용을 사전 입주했는데요, <br><br>북핵협상에 대해 "트럼프 대통령은 휘둘릴 사람이 아니고 나도 마찬가지"라는 말을 했습니다. 북한에 속았던 과거에 대한 학습은 이미 끝났고 더 이상 속지도 않을 것이라는 다짐 뒤에 나온 말입니다. <br><br>[질문2] 폼페이오도 그렇지만 더 강경한 것으로 알려진 볼턴 보좌관은 리비아식 해법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. 더 압박이 강해질 가능성이 높겠군요? <br><br>그렇습니다. 먼저 비핵화를 한 뒤 합당한 보상을 한다는 것이 리비아식 해법의 요체인데요. 협상의 신속성에서도 평가를 받았습니다. <br> <br>실제로 핵포기를 선언한 뒤, IAEA 국제원자력기구의 사찰을 받고 핵프로그램 완전폐기까지 1년 10개월이 걸렸습니다. 하지만 트럼프는 리비아식 모델을 2배속 이상으로 돌리겠다는 의지를 갖고 있는 겁니다. <br><br>[질문3] 문제는 당사국 북한, 그런데 지금까지 북한의 발언들을 차례로 쭉 살펴보면 정작 북한은 생각이 좀 다르지 않습니까? <br><br>지난달 말 북-중 정상회담에서 김정은과 시징핑은 비핵화에 대한 생각을 비교적 명확히 했습니다. <br><br>한국과 미국이 단계적, 동시적 조치를 취하면 비핵화에 응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. 트럼프 대통령이 속도전을 펼친다면 북한은 수십년간 우려먹은 살라미 전술을 펼칠 가능성이 높습니다. 얇게 썰어먹는 이탈리아 소시지 처럼 단계별로 세분화해 몸값을 챙기려 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<br>[질문4] 속타는 것은 중재자 역할을 자임하는 우리 정부일텐데요. 당장 보름후 열리는 남북정상회담에서 길잡이 역할을 할 복안이 있을까요? <br> <br>만나기 싫다는 북한과 미국을 우여곡절 끝에 마주앉게 한 것 까지는 좋았습니다. 하지만 양측이 각자의 고집을 펴기 시작하면서 자칫 난처해질 수도 있는 처지가 됐습니다. <br><br>보름 뒤 정상회담을 해야 하는데 비핵화 의제에 대한 진전기미는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. 오늘 정상회담 원로자문단 오찬때 문재인 대통령 발언입니다. <br> <br>[질문5] 결국 비핵화문제는 남북회담에서 해결할 수 없다는 체념처럼 들리기도 하네요? <br> <br>어찌보면 현실론을 펼친 셈입니다. 남북관계가 정상적으로 발전하려면 북-미간 비핵화 논의가 본궤도에 올라야 한다는 뜻을 밝힌 것입니다. 볼턴 보좌관과 정의용 안보실장의 상견례가 어떤 분위기속에 진행될 지 주목됩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하태원 국제부장이었습니다. <br>